카메라가 만들어진 원리와 구성은 기계적이고 이론적입니다. 그래서 카메라를 처음 시작하는 분들의 뇌구조는 ‘작동방법 80%, 촬영하는 의도 20%’였을 확률이 높습니다. 하지만 카메라를 촬영하는 과정은 원하는 결과물을 창작하기 위한 예술의 영역입니다. 그렇기에 작동 방법과 어려운 이론을 최소화해야만 원하는 의도에 맞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시각화 숙지법은 어려운 이론을 그림으로 시각화하면서 유치원생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함축시킨 교육 시스템입니다. 어려운 이론에 대한 부담이 기존보다 4배 줄어들기 때문에 뇌가 차지하는 용량을 ‘작동방법 20%, 촬영하는 의도 80%’로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카메라 3요소
카메라의 3요소는 ‘조리개, 셔터스피드, ISO’입니다. 각각의 요소를 이론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조리개 = 동공 셔터 스피드 = 눈꺼풀 ISO = 소금
위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친숙한 명칭으로 시각화해서 알아간다면 단 1회 수업만으로도 M모드 촬영법을 숙지할 수 있습니다.
🧿렌즈 별 화각
혹시 유튜브, 지인들이 추천해주는 렌즈만 사시나요?
남이 촬영해서 좋아보이는 구도가 아니라 자신만의 구도를 찾아가고 개성을 찾기 위해서는 반드시 렌즈의 시선이 되어야 합니다.
렌즈의 시선이란 카메라 결과물이 내 눈에 실시간으로 보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론적으로 거리를 외우는 것이 아니라 시각적으로 렌즈 별 화각을 익힌다면 자신이 머릿속에 생각한 장면을 90%이상 유사하게 촬영할 수 있습니다.
3요소 쉽게 이해가 되시나요?
조리개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안구의 동공과 유사한데, 직경이 넓어지면 빛이 많이 들어오고, 좁아지면 빛이 적게 들어온다.
셔터 스피드
셔터 스피드는 셔터가 열리는 시간의 길이를 말한다. 전체 노출은 노출 시간, 곧 이미지 센서나 필름에 빛이 도달하는 시간과 비례한다.
ISO
ISO는 필름이나 디지털 센서와 관련된 카메라의 광감도입니다. 가장 기본적으로 ISO는 사진을 밝게 혹은 어둡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카메라는 어렵다?
각각의 요소들을 하나씩 이해하면 어느 정도 이해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3가지 요소를 활용해서 촬영하는 일은 다른 일처럼 느껴지죠.
그래서 위와 같이 과학적이고 이론적인 지식으로 카메라를 처음 마주하면 어렵게 느껴지고 촬영 또한 어렵다는 착각을 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