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화 숙지법이란

🖼시각화 숙지법

카메라가 만들어진 원리와 구성은 기계적이고 이론적입니다.
그래서 카메라를 처음 시작하는 분들의 뇌구조는 ‘작동방법 80%, 촬영하는 의도 20%’였을 확률이 높습니다.
하지만 카메라를 촬영하는 과정은 원하는 결과물을 창작하기 위한 예술의 영역입니다.
그렇기에 작동 방법과 어려운 이론을 최소화해야만 원하는 의도에 맞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시각화 숙지법은 어려운 이론을 그림으로 시각화하면서 유치원생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함축시킨 교육 시스템입니다.
어려운 이론에 대한 부담이 기존보다 4배 줄어들기 때문에 뇌가 차지하는 용량을 ‘작동방법 20%, 촬영하는 의도 80%’로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카메라 3요소

카메라의 3요소는 ‘조리개, 셔터스피드, ISO’입니다. 각각의 요소를 이론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조리개 = 동공
셔터 스피드 = 눈꺼풀
ISO = 소금

위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친숙한 명칭으로 시각화해서 알아간다면
단 1회 수업만으로도 M모드 촬영법을 숙지할 수 있습니다.

🧿렌즈 별 화각

혹시 유튜브, 지인들이 추천해주는 렌즈만 사시나요?

남이 촬영해서 좋아보이는 구도가 아니라 자신만의 구도를 찾아가고 개성을 찾기 위해서는 반드시 렌즈의 시선이 되어야 합니다.

렌즈의 시선이란 카메라 결과물이 내 눈에 실시간으로 보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론적으로 거리를 외우는 것이 아니라 시각적으로 렌즈 별 화각을 익힌다면
자신이 머릿속에 생각한 장면을 90%이상 유사하게 촬영할 수 있습니다.

3요소 쉽게 이해가 되시나요?

조리개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안구의 동공과 유사한데, 직경이 넓어지면 빛이 많이 들어오고, 좁아지면 빛이 적게 들어온다.

셔터 스피드

셔터 스피드는 셔터가 열리는 시간의 길이를 말한다. 전체 노출은 노출 시간, 곧 이미지 센서나 필름에 빛이 도달하는 시간과 비례한다.

ISO

ISO는 필름이나 디지털 센서와 관련된 카메라의 광감도입니다. 가장 기본적으로 ISO는 사진을 밝게 혹은 어둡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카메라는 어렵다?

각각의 요소들을 하나씩 이해하면 어느 정도 이해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3가지 요소를 활용해서 촬영하는 일은 다른 일처럼 느껴지죠.

그래서 위와 같이 과학적이고 이론적인 지식으로 카메라를 처음 마주하면 어렵게 느껴지고 촬영 또한 어렵다는 착각을 하게 됩니다.

이제 시각화해서 쉽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카메라 관련 무료 자료 보러가기

눈 = 카메라

카메라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입장이 되어야합니다.

과거, 우리는 눈에 보이는 아름다운 장면을 보관하기 위해 그림을 그렸습니다.
하지만 그림은 시간이 오래 걸리기도 하고 불편한 것이 한 두가지가 아니였죠.

이런 불편한 요소를 제거하고 빠르게 저장할 수 있도록 탄생한 것이 카메라입니다.

카메라는 우리의 눈을 형성화해서 만들었으며 카메라의 시야를 우리의 눈으로 재현할 수 있습니다.

조리개 = 동공

어두운 밤에는 빛을 많이 확보하기 위해 동공의 구멍이 상대적으로 큽니다. (왼쪽 고양이 동공)

반대로 밝은 날에는 빛이 많기에 너무 많은 빛이 들어오지 못하게 구멍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작게 해줘야 합니다.
(오른쪽 고양이 동공)

어두운 방에 있다가 갑자기 불이 확 켜져서 눈 아팠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밤에는 많은 양의 빛을 받기 위해서 동공의 크기가 낮보다 커야 합니다.    그런데 갑자기 많은 양의 빛이 들어오게 되면 뇌는 놀라서 눈꺼풀을 닫아버립니다. 

눈을 감은 상태에서 천천히 동공의 크기를 줄여나가는 방식으로 카메라의 원리를 이해하면 쉽게 기억할 수 있습니다.

셔터스피드 = 눈꺼풀

현재 우리가 시야적으로 사물을 바라보는 건 영상의 입장입니다.

그래서 눈꺼풀 한 번 깜박이는 것에 대한 이질감을 느끼지 못합니다..

하지만 카메라에서는 눈꺼풀 한 번 ‘깜박 깜박’하는 건 ‘저장, 저장’입니다.

그래서 셔터 스피드(눈꺼풀)가 빨라지면 빛의 양이 적게 들어오게 되는 것 입니다.

 

ISO = 소금

ISO는 정말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맨 위에 눈 구조 사진 중에 ISO라는 단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자연스러운 빛을 받아들이는 요소는 동공(조리개), 눈꺼풀(셔터 스피드)이기에 이 둘의 요소를 많이 확보해야 자연스러운 사진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ISO는 인위적인 빛을 증가시켜주는 카메라의 능력입니다.

요리를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음식 본연의 맛을 풍부하게 즐기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재료가 중요합니다. 

간을 맞추기 위해 소금(조미료)을 넘치게 부어버리면 음식은 짜서 먹을 수 없게 됩니다.

이처럼 ‘본연의 재료(조리개, 셔터스피드)가 부족한 부분을 소금(ISO)으로 적당히 채워주면 좋은 음식을 먹을 수 있다’라는 개념으로 접근하면 기준점을 잡고 촬영할 수 있습니다.

ISO는 무조건 나쁜 것이 아니라 적당히 쓰면 최고의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카메라 교육 무료 상담

Scroll to Top